일반적인 리눅스 서버는 랜포트별로 IP를 할당하여 ifconfig 명령어로 할당된 IP 를 확인할 수 있으나
AWS (Amazon Web Service)등의 클라우드 장비에서는 Private IP 만 확인이 가능하고 Public IP 는 Amazon Console 등을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다.
또는 NAT 아래에 위치한 서버들의 경우도 실제 할당된 IP는 사설 IP만 표시되고, 외부 접속시 외부 서버에서 인식하는 IP 는 NAT 의 IP 가 된다.
이런 경우 서버에서 간단하게 외부로 접속하는 본인 IP를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.
$ curl ip.ojj.kr
Your IP is 175.123.191.3
$ curl ip.ojj.kr/?q=1.1.1.1
* Query : 1.1.1.1
* Result :
%kwhois % [whois.apnic.net]
% Whois data copyright terms http://www.apnic.net/db/dbcopyright.html
% Information related to '1.1.1.0 - 1.1.1.255'
% Abuse contact for '1.1.1.0 - 1.1.1.255' is 'helpdesk@apnic.net'
inetnum: 1.1.1.0 - 1.1.1.255
netname: APNIC-LABS
descr: APNIC and Cloudflare DNS Resolver project
descr: Routed globally by AS13335/Cloudflare
descr: Research prefix for APNIC Labs
country: AU
org: ORG-ARAD1-AP
admin-c: AR302-AP
tech-c: AR302-AP
abuse-c: AA1412-AP
status: ASSIGNED PORTABLE
remarks: ---------------
remarks: All Cloudflare abuse reporting can be done via
remarks: resolver-abuse@cloudflare.com
remarks: ---------------
mnt-by: APNIC-HM
mnt-routes: MAINT-AU-APNIC-GM85-AP
mnt-irt: IRT-APNICRANDNET-AU
last-modified: 2020-07-15T13:10:57Z
source: APNIC
(이하 생략...)
원리는 curl 명령어를 통해 http://ip.ojj.kr 를 접속하는건데, ip.ojj.kr 사이트에서는 리눅스에서 접속한 경우는
Plain Text 로 IP 만 출력하고, 웹브라우저에서 접속한 경우는 UI 를 출력하도록 구현되어 있기 때문이다.
파라미터로 q 값에 IP 를 넣어주면 해당 IP 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. (웹 동일)
반응형